본문 바로가기

python

[파이썬] TypeError: 'str' object cannot be interpreted as an integer 에러 발생 이유 및 해결 방법은? TypeError: 'str' object cannot be interpreted as an integer라는 에러가 발생했다면 사용한 데이터의 타입을 한 번 확인해보는 게 좋은데요, 에러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문자열 데이터를 정수형처럼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오류입니다. 예를 들어, '3' 이라는 변수가 있고, 이를 정수형 타입으로 여겨 연산을 하도록 실행했는데, '3'이 정수형(integer) 데이터가 아닌 문자열(str) 데이터였다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만약 TypeError: 'str' object cannot be interpreted as an integer 에러가 발생했다면, 정수형 데이터라고 생각했던 데이터가 문자열 데이터는 아닌지 타입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 더보기
[파이썬] SyntaxError: invalid syntax 에러 발생 이유 및 해결방법은? 파이썬으로 코딩을 하면서 가장 많이 보는 에러 중 하나가 바로 SyntaxError: invalid syntax 일 수 있습니다. 이 에러가 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그중 주된 이유 중 하나는 바로 ' : '를 작성하지 않았을 때 입니다. 보통 for문이나 if문, while문, try문, 함수 등을 만들 때 뒷부분에 ' : '를 반드시 써줘야 하는데요, 만약 이를 입력하지 않고 코드를 실행하면 SyntaxError가 난답니다. 한 번 for문에 ' : '를 입력하지 않고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or i in range(5) print(i) File "", line 1 for i in range(5) ^ SyntaxError: invalid syntax for문에 ' : '를 입력하.. 더보기
[파이썬]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에러 해결 방법은? 파이썬에서 코딩을 하다 보면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어떠한 경우에 나는 에러일까요? 에러 내용을 보면, 인덱스에러 : 범위를 벗어난 리스트 인덱스라고 되어 있습니다. 즉, 리스트 안에 데이터 수가 부족하다면 발생하는 에러입니다. 예를 들어, 5개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리스트에서 for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하나씩 출력할 때, for문을 5번 돌리면 되지만 만약 6번 이상 돌려서 6번째 데이터를 출력할 때 IndexError 가 발생한답니다. 이를 한 번 실행해보겠습니다. list1 = [1, 2, 3, 4, 5] for i in range(6) : print(list1) 1 2 3 4 5 IndexError: list inde.. 더보기
[파이썬] IndentationError: unexpected indent , IndentationError: expected an indented block - 무슨 에러인가요? / 해결 방법 파이썬 코딩을 하다 보면 가끔 IndentationError: unexpected indent 또는 IndentationError: expected an indented block 라는 에러가 나올 수 있는데요, 바로 들여쓰기 또는 내어쓰기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한 번 들여쓰기를 하지 않고 코드를 실행해보겠습니다. text1 = "안녕하세요!" for i in text1 : print(i) IndentationError: expected an indented block 올바르게 실행하기 위해선 print(i) 부분을 들여쓰기 해야 하지만 들여쓰기를 하지 않았더니 위와 같이 출력되었습니다. 만약 print(i) 코드를 들여쓰기해서 재실행하면, 에러가 뜨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반면, .. 더보기
[파이썬] 문자열 길이 & 리스트 안 데이터 개수 구하기 - len() 문자열 길이나 리스트 안에 있는 데이터의 개수 및 크기를 구할 땐 len() 함수를 사용하면 되는데요, 아래 코드를 보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문자열 길이 구하기 먼저, 아래와 같은 텍스트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text1 = "안녕하세요! 디노랩스 블로그입니다." 이제 이 텍스트의 문자열 길이를 구하고 싶다면 len() 함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num = len(text1) print(num) 19 출력된 값을 보면 19로, 알맞게 문자열의 길이를 잘 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띄어쓰기도 한 글자로 포함이 된답니다. 2. 리스트 안에 있는 데이터 개수 구하기 반면, 리스트 안에 데이터가 몇 개 있는지도 len()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요, 다음과 같.. 더보기
[파이썬] 텍스트와 변수 함께 출력하는 방법 3가지 - print() 텍스트 또는 데이터를 담고 있는 변수를 출력하기 위해서 print() 함수를 사용하는데요, 여러 텍스트나 여러 변수를 함께 출력하는 방법 3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 사용하기 print() 함수 안에서 '+' 를 이용하면 문자열 형식의 데이터를 이어주어서 출력할 수 있는데요, 아래의 코드를 보시기 바랍니다. num = 100 print("시험점수는 " + str(num) + "점 입니다." ) 시험점수는 100점 입니다. 위 코드를 보면 "시험점수는" 이라는 텍스트와 str 형식의 num 변수와 "점 입니다." 이라는 텍스트를 '+'로 이어주어서 함께 잘 출력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위에서 str(num) 대신 num 이라고만 입력하면 안되는데요, '+' 로 이어주려면.. 더보기
[파이썬]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 셀 분리하기 / 병합하기 단축키 주피터 노트북에서 코딩을 하다 보면 일부분만 실행을 해보기 위해 셀을 분리해야 되는 경우가 있고, 또 분리된 셀을 병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단축키를 모른다면 일일이 복붙 해야 한답니다. 따라서 셀을 쉽게 분리하고 병합할 수 있는 단축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셀 분리하기 : ctrl + shift + '-' 먼저 셀을 분리하는 단축키는 바로 ctrl + shift + '-' 인데요, 분리하고 싶은 부분을 커서로 누른 뒤, 해당 단축키를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해당 부분을 기준으로 앞부분은 기존 셀에 남아있고, 뒷부분은 새로운 셀로 분리된답니다. 2. 셀 병합하기 : shift + 'm' 반면, 셀을 병합하는 단축키는 shift + 'm' 으로, edit mode가 아닌 co.. 더보기
[파이썬]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 특정 셀 위/아래에 새로운 셀 생성 단축키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특정 셀 위에 또는 아래에 새로운 셀을 생성해서 코드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는데요, 이러한 경우처럼 특정 셀 위/아래에 새로운 셀을 생성하는 단축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dit mode / command mode 새로운 셀을 생성하는 단축키에 대해 알아보기 앞서, 주피터 노트북에는 edit mode와 command mode가 있습니다. 먼저, edit mode는 왼쪽에 초록색 상태의 cell로 enter를 눌러 코드를 입력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반면 command mode는 esc를 누르거나 셀을 마우스로 클릭해서 파란색의 cell이 된 상태를 말합니다. 2. 새로운 셀 생성하기 : command mode >> 'a' 또는 'b' 특정 위.. 더보기
[파이썬]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 셀 지우기 & 되돌리기 단축키 1. 셀 지우는 단축키 : command mode >> 'dd'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하다 보면 셀을 새로 생성하거나 지울 일이 많은데요, 셀을 지우는 단축키가 있습니다. 우선, 주피터 노트북에는 edit mode와 command mode가 있는데요, edit mode는 왼쪽에 초록색 상태의 cell로 enter를 눌러 코드를 입력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반면 command mode는 esc를 누르거나 셀을 마우스로 클릭해서 파란색의 cell이 된 상태를 말하는데요, 셀은 이 edit mode에서 'dd'를 누르면 해당 셀이 삭제됩니다. 즉, edit mode라면 'esc + dd'를 누르고, command mode라면 바로 'dd'를 눌러 셀을 삭제할 수 있습니다. 2. 지운 셀 되돌리는 단축키 : c.. 더보기
[파이썬] 주피터 노트북 : 여러 줄 한 번에 주석처리/들여쓰기/내어쓰기 하는 단축키는? 주피터 노트북을 다룰 때, 알아두면 편리한 단축키들이 있는데요, 그중에서도 여러 줄을 한 번에 주석처리하거나 들여쓰기 또는 내어쓰기를 하는 단축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석처리 : ctrl + / 주석처리는 해당 줄 또는 코드가 실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나 관련 정보를 표시할 때 '#' 을 앞에 입력하는 것인데요, 여러 줄의 코드를 한 번에 주석처리 하기 위해선, 해당 줄을 모두 드래그 한 뒤, 'ctrl + /'를 누르면 됩니다. 이때 한 줄에서 글자 한 개만 드래그에 포함되어 있어도, 그 줄은 주석처리가 됩니다. 2. 들여쓰기/내어쓰기 : ctrl + [ , ctrl + ] 한편, 함수나 if문, while 문 등 들여쓰기를 해주어야 할 때가 있는데요, 수정을 하다 보면 들여쓰기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