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파이썬 기초
[파이썬] 문자열 길이 & 리스트 안 데이터 개수 구하기 - len()
알디노
2021. 3. 8. 18:34
문자열 길이나 리스트 안에 있는 데이터의 개수 및 크기를 구할 땐 len() 함수를 사용하면 되는데요,
아래 코드를 보면서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문자열 길이 구하기
먼저, 아래와 같은 텍스트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text1 = "안녕하세요! 디노랩스 블로그입니다."
이제 이 텍스트의 문자열 길이를 구하고 싶다면 len() 함수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num = len(text1)
print(num)
19
출력된 값을 보면 19로, 알맞게 문자열의 길이를 잘 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때 띄어쓰기도 한 글자로 포함이 된답니다.
2. 리스트 안에 있는 데이터 개수 구하기
반면, 리스트 안에 데이터가 몇 개 있는지도 len() 함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는데요, 다음과 같은 리스트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list1 = [1, 4, 2, 6, 54, 76, 23, 55, 76, 34, 73, 46, 27, 84, 62, 42, 47, 92, 82, 52]
이 리스트 안에 데이터가 몇 개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입력하면 됩니다.
num2 = len(list1)
print(num2)
20
출력 결과, 데이터의 개수가 잘 출력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len() 함수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데이터 분석 또는 머신러닝 코딩을 할 때 len(num1), len(list1) 이런 식으로 하나의 변수처럼 잘 사용되기 때문에 잘 기억했다가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D